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기적 성능 시험중 쇼트 발견

HW/디버깅

by 초보천재 Jet 2021. 11. 30. 18:22

본문

보드가 새로 입고되면 쇼트난 부분이 없는 지 찍는 절차 (전기적 성능시험) 이 있다.

각 전압마다 캐패시터단을 멀티미터로 찍어서 저항이 나오는지 확인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몇번이나 전기적 성능시험을 했지만 한번도 쇼트난걸 확인 한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발견했다.

만약 제대로 확인을 안하고 바로 전원을 인가했다면 다른 파트까지 터질 수 있었다.

 

C337 부분의 저항을 측정하니 2옴 나왔다.

주위에 다른 파트를 측정하니 측정되었다.

GND 부분을 한곳을 찍기 쉬운곳에 찍어놓고, 저 1.2V 가 지나가는 포인트마다 찍어보았다.

(이전에는 포인트 양단을 찍으면 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였다. GND를 고정 시켜놓고 지나가는 포인트를 찍어야 한다)

 

아무튼 그 결과 C337 의 두 포인트만 쇼트였다. 즉, DCDC 컨버터가 내부에서 쇼트 되어있다는 것.

 

결국 DCDC 컨버터 (EP53F8QI) 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였다.

 

교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 리웍기에 올려놓고 180도로 5분정도 예열한다.

2) 해당 포인트에 분사기 온도를 360도로 맞추고 20초 정도 리웍기 작동

3) 해당 IC가 크기가 크다면 리웍기 장비로 뗄 수 있지만 너무 작아서 핀셋으로 빼냄

4) 새로운 제품의 납 부분에 솔더링 페이스트를 뭍히고 살짝씩 납을 뭍힌다.

5) 마찬가지로 PCB에 떼어낸 빈자리를 솔더링 페이스트를 뭍히고 인두기로 잘 정리한다.

6) 1번 위치를 잘 보고 IC를 원래 자리에 살포시 올려놓는다.

7) 리웍기 약 20초 동안 재작동

8) 붙긴 했으나 확실하지 않으니 얇은 팁 인두기로 납땜을 추가로 해준다.

9) 솔더링 페이스트를 인두기에 뭍혀서 전체적으로 정리를 해준다.

10) 현미경으로 외관 상태를 확인한다.

11) 다시 C337 파트 전압을 측정해본다.

12) 저항이 측정된다!

 

'HW > 디버깅'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DC 가 제대로 동작 안하던 경우  (0) 2022.08.10
RS422 통신이 안되는 보드  (0) 2022.05.24
PMC 보드의 SDLC 저온 통신 문제  (0) 2021.10.20
(디버깅) PCIe 통신이 안잡힐 때  (0) 2021.06.28

관련글 더보기